기록 ⁺₊

포스타입 vs 딜리헙 글 써본 후기

by ₊⁺우산이끼⁺₊ 2025. 3. 17.
반응형

콘텐츠 거래와 후원이 가능한 대표적인 플랫폼, 포스타입과 딜리헙을 사용해 본 후기입니다. 딱히 부업을 하려는 건 아니고 그냥 글만 쓰면서 사용해 본 후기입니다. 그래서 수익 관련 이야기는 없고 좀 간단하게 썼어요.

대충 분위기를 보면 포스타입은 2차 창작물을 안전하게(성인인증 등) 올릴 수 있는 플랫폼으로 주목받으면서 커졌기 때문에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하는 사람들, 2차 창작(팬픽 등)하러 온 사람들이 많다 보니 사용자가 많습니다.(순수 창작이나 덕질이 아닌 장사하러 온 사람도 많은 느낌;;)

딜리헙은 1차 창작물 위주로 올라옵니다. 

둘다 성인인증 됩니다!

 

일단 좀 굵직한 거부터 말하자면 포스타입 에디터가 딜리헙 에디터보다 기능이 더 많긴 하지만 사용해 본 결과 둘 다 그저 그렇습니다.

HTML 수정 없고 글자색이나 크기 지정에 자유도가 낮습니다. 표 기능도 없어요. 티스토리 블로그 쓰던 분들은 굉장히 불편할 것 같습니다. 포스타입에는 원래 표 기능이 있었는데 무려 사용자가 별로 없어서 삭제했다고 합니다.ㅋㅋ 요즘 포스타입으로 수익화하겠다고 일반 블로그처럼 이런저런 '팁' 글을 올리는 사람도 많아졌던데 굳이 기능을 축소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HTML 수정이라도 하게 해 줘... 솔직히 좀 투박하긴 해도 구글 블로그(Blogger) 에디터 정도였으면 좋을 텐데요.

눈에 띄는 기능을 보면, 포스타입은 인용 기능으로 글을 메시지처럼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왜 굳이 인용 기능으로 넣은 건지는 모르겠지만요.

포스타입의 꾸밈이 있는 인용 기능

딜리헙은 글을 쓸 때 문단 첫 부분이 자동으로 들여 쓰기가 됩니다.

들여쓰기가 되는 딜리헙

요즘 epub 파일에 CSS 넣어서 다양한 연출을 시도하던데 대표적인 창작 플랫폼들 에디터의 자유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 같아서 아쉽네요.

개인적으로는 두 플랫폼 다 글 쓰면서 약간 옛날 txt 파일에 소설 쓰던 시절로 돌아간 기분이 들었습니다.ㅋㅋㅋ

 

그리고 딜리헙 쓰면서 당황했던 게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이미지를 4장 올려야 하더라고요.

프로젝트 생성 과정 중 대표 이미지 설정

서로 다른 이미지 4장을 올려야 해서 글만 쓰러 간 저는 좀 당황스러웠습니다. 웹툰이면 일부분을 편집해서 올리면 되겠지만 소설은 뭘 올려야 할지 고민해야 해서 좀 진입장벽이 있는 것 같네요. 특히 단편 쓰려는 분들은 부담스러울 것 같아요.

다른 분들 보니까 그냥 똑같은 이미지 4장 올리신 분도 있고 글의 일부를 캡처해서 올리신 분도 있었습니다. 혹시 딜리헙 시작하시는 분들 있으면 너무 부담 갖지 마세요. 참고로 이미지 올릴 때 이름 다 다르게 해야 올라갑니다.

 

딜리헙의 가장 큰 단점, 바로 사이트 오류가 잦다는 겁니다.

오류 페이지

자꾸 위와 같은 오류 페이지가 뜹니다.(아마 404페이지인 듯?) 그냥 딜리헙 들어가자마자 뜰 때도 있고, 내 스튜디오로 갔을 때 뜨기도 하고, 내 프로젝트 페이지에 가도 뜨고... 페이지를 전환할 때마다 시도 때도 없이 오류가 생깁니다. 솔직히 다른 웹사이트들은 좀 느릴지언정 저렇게 아예 오류가 뜨는 경우는 별로 없잖아요. 딜리헙은 해당 플랫폼을 계속 유지하고 성장시키고 싶다면 페이지 전환 오류부터 해결하세요.

 

포스타입의 단점. 포스타입은 저작권과 관련하여 논란이 된 적이 있습니다. 저작권 문제에 있어서 포스타입은 '중개자'의 위치에 서서 방관하는 쪽에 가깝다고 보시면 됩니다.

공론화 글: https://www.postype.com/@dkkdjdkkkdj/post/16377388

 

포스타입 측과 무단 도용 문제에 관해 나눈 대화: 표절 공론화

안녕하세요, 혜성입니다. 저는 얼마 전 도용범의 포스타입 채널을 통해 제 글이 무단으로 도용, 리네이밍 당한 뒤 도용범의 수익 창출로 사용되는 피해를 당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피해를 포스

www.postype.com

요약: 포스타입 <권리침해신고센터> 저작권 침해 신고 가이드에 따르면 신고한 피해자의 개인정보(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이메일 등)를 도용범에게 전달할 수 있었음. 한마디로 피해자는 도용범이 누군지 알 수 없으나, 도용범은 신고한 피해자의 개인정보를 알게 될 수 있음.(실제 사례 있음) 도용 사실 확인을 위해 도용범의 포스트를 구매한 비용은 환불해주지 않음. 포스타입에서 도용범에게 취하는 최대 조치가 강제 발행 취소 30일. 도용범 수익 출금 정지 안 됨.

공론화 후 도용범에게 신고자의 본명만 전달되도록 바뀌었다고 합니다. 결국 개인정보는 넘어간다는 거고, 이 이상 변경이 어렵다고 하네요. 위 피해자 분은 포스타입이 재발 방지 대책이나 엄격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태도를 보이지 않아 많이 실망하셨다고 합니다.

이 글 읽으면서 저도 포스타입이 저작권 관련해서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은 아니라고 생각됐습니다.

 

아직까지 딜리헙은 저작권 관련 논란이 없습니다.(이용자가 적어서 그런 걸 수도...)

 

모바일 앱도 사용해 봤는데요.

포스타입 모바일 앱은 글 저장이 안 되는 버그가 있는 것 같더라고요. 분명 수정해서 저장한 거 같은데 PC로 들어가 보니 수정 전 버전이 떴습니다. 별달리 수정한 게 많지 않아 짜증 나지는 않았지만 좀 치명적인 버그가 아닐까 싶습니다.

딜리헙 모바일 앱은 작품 보기만 가능하고 글 추가, 수정 등의 스튜디오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스튜디오 가면 모바일 웹으로 연결되는데 거기서도 아무것도 할 수 없어요.

 

마지막으로, 원래 수익 얘기는 안 하려고 했는데 무료 포스트에도 후원 기능이 있는 플랫폼이라 적는 건데요. 포스타입에서 해외 거주 외국인은 작가 인증과 수익 출금이 불가능합니다. 한국 번호와 한국 계좌가 있어야 해요.

포스타입으로 얻은 수익을 사용하지 않고 5년이 지나면 소멸하여 포스타입에 돌아가는데요. 다행히 공론화한 분이 문제를 제기했는데 해외 거주 외국인에 한정하여 수익 출금이 불가능한 경우 포인트가 소멸되지 않을 거라고 하네요.

공론화 트윗: https://x.com/tendiffthings/status/1380442667830501378

 

딜리헙은 해외 거주 외국인도 별 다른 문제 없이 수익 출금이 가능합니다.

 

최근에 포스타입이 수수료 올린다고 해서 논란이 되었는데 저는 뭐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해요. 이용자가 많아진 만큼 중소기업에서 감당하기엔 서버비가 만만치 않을 테니까요. 근데 발견 수수료니 검색 수수료니 하는 것보단 그냥 아예 수수료 자체를 30%로 올렸으면 사람들이 화내다가도 수긍했을 것 같아요.(후원 수익은 상관없다고 합니다. 포스트 구매 수익만 검색 수수료 받는 거예요) 검색 수수료라는 건 정말 처음 들어보고 부당하게 느껴지네요. 차라리 검색 결과 화면에 광고를 하나씩 더 넣어서 광고 수익이라도 얻으시지... 실제로 네이버도 검색 결과 상단에 광고 넣잖아요.

 

😇결론

포스타입과 딜리헙 둘 다 웹소설보다는 웹툰에 더 신경 쓰는 느낌.

사이트가 답답한 게 싫으면 포스타입.

2차 창작은 포스타입 추천.(같이 덕질할 사람도 많으니까)

저작권에 민감한 1차 창작물은 딜리헙 추천.

해외 거주자라면 딜리헙 추천.

포스타입 수수료 정책은... 논란 커지면 다시 바뀔 수 있어서 좀 더 두고 봐야 할 것 같음.

 

추가로 투비컨티뉴드라는 사이트도 있던데요. 알라딘에서 대놓고 포스타입 베낀 플랫폼이라 곱게 보이진 않네요. 기능이 포스타입과 거의 동일해서 포타 접으려는 분들이 여기에 백업하겠다는 분들이 많긴 합니다.

반응형

댓글